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금체불 이게 무슨 소리야?

by 경제도토리 2025. 9. 12.

최근 임금체불이 심해지면서 정부가 임금체불한 사업주들을 공개하고 정부지원금 제한등의 조치를 놓겠다 하였는데요. 심각한 임금체불에 대해서 정부가 어떤 조치를 하는지 알아봅시다

임금체불 이게 무슨 소리야?

1. 임금체불 문제의 심각성

임금체불은 근로자의 생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로, 노동자의 권리를 침해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고액·상습적인 임금체불은 단순한 경제적 문제를 넘어 사회적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2. 고용노동부의 조치 내용

2.1 명단 공개 대상 기준

고용노동부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하는 사업주들의 명단을 공개합니다:

  • 최근 3년 이내 임금체불로 2회 이상 유죄가 확정된 경우
  • 이전 1년 이내 임금체불 총액이 3,000만 원 이상인 경우

이러한 사업주들은 2028년 9월 10일까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를 통해 명단이 공개되며, 성명, 나이, 사업장명, 주소, 체불액 등의 정보가 포함됩니다. 정책브리핑

2.2 신용 제재 대상

또한, 고용노동부는 다음과 같은 사업주들을 신용 제재 대상으로 지정합니다:

  • 체불 총액이 2,000만 원 이상인 경우

이들에 대한 신용 정보는 한국신용정보원에 제공되어, 7년간 신용관리 대상자로 등재됩니다. 이로 인해 대출 등의 금융 거래에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3. 제재 강화 및 상습체불사업주 지정

오는 2025년 10월 23일부터 시행되는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라, 상습체불사업주에 대한 제재가 강화됩니다.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하는 사업주가 대상입니다:

  • 직전 연도 1년간 퇴직금을 제외한 3개월분 이상의 임금을 체불하거나
  • 5회 이상 체불하고
  • 체불 총액이 3,000만 원 이상인 경우

이러한 사업주들은 다음과 같은 제재를 받게 됩니다:

  • 신용 제재
  • 정부 보조·지원사업 참여 제한
  • 공공입찰 시 감점

또한, 명단 공개 대상 사업주는 출국금지 대상이 되며, 해당 명단 공개 기간 중에 다시 임금을 체불하면 반의사불벌 규정이 적용되어 피해 노동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형벌을 부과받을 수 있습니다. 광주타임즈

 4. 명단 공개 및 신용 제재 실효성 강화

고용노동부는 명단 공개와 신용 제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민간 채용정보 플랫폼과 협업하여 구직자들이 체불사업주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체불사업주 정보의 접근성을 높여 구직자들이 안전한 일자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5. 사회적 의미와 향후 전망

이번 조치는 임금체불 문제를 근절하고,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며, 공정한 노동 시장을 조성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특히 상습적인 임금체불에 대한 강력한 제재는 사업주들에게 경각심을 주어, 체불 근절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고용노동부는 명단 공개와 신용 제재를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임금체불이 근절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고용노동부의 고액·상습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 공개 및 신용 제재 강화 조치는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공정한 노동 시장을 조성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이러한 조치들이 실효성을 거두어, 임금체불 문제를 근절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